카테고리 없음

24절기 유래와 의미 양력 음력 표 차이점

인포니아 2024. 2. 28. 01:25
반응형

우리나라의 사계절은 아름답고 다양한 풍경을 선사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전통문화에는 이러한 사계절의 변화를 잘 반영한 24절기가 있습니다. 24절기란 무엇이고, 어떻게 유래하게 되었을까요? 양력과 음력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4절기 유래와 의미, 그리고 양력 음력 표,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란?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기후 변화를 24개의 절기로 구분한 것입니다. 황경이라는 태양이 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움직인 각도로 나누어집니다.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15°간격으로 24절기를 구분하며,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략 15일 간격입니다. 24절기는 다시 절(節)과 중(中)으로 분류되어 입춘 등 홀수 번째 절기들은 절이되고, 우수 등 짝수번째 절기들은 중이 됩니다.

24절기의 개수와 명칭은 중국에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되었으며,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을 사용하게 된 것이 24절기입니다.

우리의 전통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24절기에 따라 농사의 시기와 방법을 정하고, 음식과 의복, 풍속과 예절을 달리하였습니다. 우리의 생활과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4절기 양력 음력 표>

24절기 양력 음력 표

24절기 유래와 의미

24절기는 각각 다음과 같은 유래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입춘(立春):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농사의 계절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입춘은 '봄이 들어서다’라는 뜻입니다.
  • 우수(雨水): 봄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절기로, 땅이 촉촉해지고 식물이 자라기 시작하는 날입니다. 우수는 '비가 내리다’라는 뜻입니다.
  • 경칩(驚蟄): 봄철 첫번째 번개가 치면 곤충들이 깨어나는 절기로, 자연이 활기차게 움직이기 시작하는 날입니다. 경칩은 '번개가 치고 곤충이 깨다’라는 뜻입니다.
  • 춘분(春分):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로, 양력으로는 3월 21일경입니다. 춘분은 '봄의 중간’이라는 뜻입니다.
  • 청명(淸明): 날씨가 맑고 밝아지는 절기로, 산수가 맑고 푸르러지는 날입니다. 청명은 '맑고 밝다’라는 뜻입니다.
  • 곡우(穀雨): 곡식이 잘 자라기 위해 비가 내리는 절기로, 농사에 중요한 비가 오는 날입니다. 곡우는 '곡식에 비가 내리다’라는 뜻입니다.

 

  • 입하(立夏):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날씨가 더워지고 땀이 많이 나는 날입니다. 입하는 '여름이 들어서다’라는 뜻입니다.
  • 소만(小滿): 곡식이 알만큼 자라는 절기로, 농사의 중요한 시기인 날입니다. 소만은 '작게 차다’라는 뜻입니다.
  • 망종(芒種): 보리와 밀을 심는 절기로, 곡식의 종자가 날카로운 날입니다. 망종은 '날카로운 종자를 심다’라는 뜻입니다.
  • 하지(夏至): 낮이 가장 긴 절기로, 양력으로는 6월 21일경입니다. 하지는 '여름의 극치’라는 뜻입니다.
  • 소서(小暑): 여름의 한창 더운 절기로, 더위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소서는 '작게 덥다’라는 뜻입니다.
  • 대서(大暑): 여름의 가장 더운 절기로, 더위가 극에 달하는 날입니다. 대서는 '크게 덥다’라는 뜻입니다.

 

  • 입추(立秋):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날씨가 선선해지고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날입니다. 입추는 '가을이 들어서다’라는 뜻입니다.
  • 처서(處暑): 더위가 끝나기 시작하는 절기로, 더위가 가라앉고 기온이 내려가는 날입니다. 처서는 '더위가 끝나다’라는 뜻입니다.
  • 백로(白露): 이슬이 하얗게 맺히는 절기로, 아침에 이슬이 많이 내리는 날입니다. 백로는 '하얀 이슬’이라는 뜻입니다.
  • 추분(秋分):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로, 양력으로는 9월 23일경입니다. 추분은 '가을의 중간’이라는 뜻입니다.
  • 한로(寒露): 이슬이 차가워지는 절기로, 날씨가 서늘해지고 이슬이 차가워지는 날입니다. 한로는 '차가운 이슬’이라는 뜻입니다.
  • 상강(霜降):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절기로, 기온이 0도에 가까워지는 날입니다. 상강은 '서리가 내리다’라는 뜻입니다.

 

  • 입동(立冬):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날씨가 추워지고 눈이 오기 시작하는 날입니다. 입동은 '겨울이 들어서다’라는 뜻입니다.
  • 소설(小雪): 눈이 조금 내리는 절기로, 눈이 소복소복 쌓이는 날입니다. 소설은 '작은 눈’이라는 뜻입니다.
  • 대설(大雪): 눈이 많이 내리는 절기로, 눈이 두터이 쌓이는 날입니다. 대설은 '큰 눈’이라는 뜻입니다.
  • 동지(冬至): 밤이 가장 긴 절기로, 양력으로는 12월 22일경입니다. 동지는 '겨울의 극치’라는 뜻입니다.
  • 소한(小寒): 겨울의 한창 추운 절기로, 한파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소한은 '작게 추워지다’라는 뜻입니다.
  • 대한(大寒): 겨울의 가장 추운 절기로, 한파가 극에 달하는 날입니다. 대한은 '크게 추워지다’라는 뜻입니다.

24절기 양력 음력 차이점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양력과 음력은 어떻게 다른 것일까요? 양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든 달력이며, 음력은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든 달력입니다.

양력은 태양의 공전주기인 365일을 1년으로 하고, 음력은 달의 공전주기인 29.5일을 1달로 합니다. 따라서 양력은 1년이 12개월이고, 음력은 1년이 12개월 또는 13개월입니다. 음력은 달의 상태에 따라 초승달, 보름달 등을 구분할 수 있으며, 양력은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양력 날짜는 거의 같지만 음력으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입춘은 양력으로는 2월 4일이지만, 음력으로는 윤1월 15일입니다.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을 사용하게 된 것이 24절기입니다.

우리의 전통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농사와 생활, 음식과 의복, 풍속과 예절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양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음력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24절기를 유래와 의미 양력 음력 표, 차이점 알아보면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